<p></p><br /><br />오늘도 시청자분들께서 보내주신 궁금증으로 시작합니다. <br> <br><br><br>코로나19 의심환자에 대한 1차, 2차 진단 결과가 다른 사례들이 속출하면서 진단 방법, 정말 믿을 수 있냐는 문의가 많았는데요. <br> <br> 결과가 왜 다른지 따져보겠습니다. <br><br><br><br> 진단키트가 보급된 70여 개의 의료 기관에서 코로나19 검사를 하고 있는데요, <br> <br> 1차 검사기관이 단 한 번도 확진 판정을 내려보지 않은 곳이었거나 명확하게 판단하기 힘들 경우 질병관리본부가 한 번 더 검사를 해서 결과를 발표합니다. <br><br><br><br>1차, 2차 결과가 항상 같은 것은 아닙니다. <br><br>코로나 19 바이러스의 양, 즉 농도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. <br><br><br><br> 의심환자의 코 뒤쪽 벽과 폐에서 올라온 가래로 검체를 채취하는데요, <br> <br> 검체에 시약을 넣은 뒤 유전자를 수십 차례 증폭시켜 코로나19 유전자와 대조합니다. <br> <br> 이 유전자 증폭을 몇 차례 반복했을 때 코로나 19 유전자와 일치하는지에 따라 양성과 음성이 나뉘는데요, <br><br><br><br> 바이러스 농도가 높은 환자의 검체는 35번 증폭 전에 일치하게 되고, 35번 넘게 돌렸는데도 일치하지 않으면 음성이 됩니다. <br> <br> 기준치인 35번에 근접한 횟수에서 유전자가 일치하게 되면 '알 수 없음'이나 '양성'으로 분류해 재검사하는데요. <br><br> 문제는 바이러스에 감염돼도 초기 상태에선 바이러스 양이 적어 '음성'으로 나올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<br> 전문가들은 음성이 나온 의심환자도 지속적으로 검사를 해봐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. <br><br>[임채승 / 고대구로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] <br>"초기 상태에서는 농도가 낮아요. 그래서 놓칠 수가 있단 말이에요. 기간에 걸쳐서 한 번 하고 또 해주고, 음성이면 일주일 뒤에 다시 확진을 한다거나 검사는 해주는 게 좋아요." <br><br> <br><br> 종합하면 같은 환자라도 증상 발현 정도에 따라 진단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이 밖에도 궁금한 사항은 팩트맨에 제보 부탁합니다. <br><br><br><br><팩트맨 제보 방법> <br>-이메일 : saint@donga.com <br>-카카오톡 : 채널A 팩트맨 <br><br>취재:성혜란 기자 <br>연출·편집:황진선 PD <br>구성: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:장태민, 유건수 디자이너